chmod는 파일의 권한을 바꿔주는 리눅스 명령어다.
chmod의 명령어 구성은 다음과 같다.
chmod [references][operator][modes] file1 ...
1) 레퍼런스 (reference)
레퍼런스는 해당 파일에 대핸 권한을 누구에게 부여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.
2) 연산자 (operator)
chmod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는 크게 +, -, = 세 가지가 있다.
즉, +는 권한을 추가, -는 권한을 제거, =는 권한을 지정하는 것이다.
3) 모드 (modes)
모드는 어떤 권한을 부여할 것인가 라고 보면 될 것 같다.
만약 쉘 스크립트 실행 시 permission denied 에러를 만났다면 쉘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 +x 권한을 주면 될 것이다.
그렇다면 현재 내 파일의 권한 설정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?
다음 명령어를 치면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의 권한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.
ls -l
파일권한을 읽는 법은 (맨 앞 글자 빼고) 세 글자씩 잘라서 보면 된다.
맨 위의 파일 권한을 예로 살펴보면,
- / rw- / rw- / r--
순서대로 파일여부(파일이면 - , 디렉토리면 d), 해당 파일 소유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, 파일 소유 그룹에게 부여된 권한, 그 외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을 의미한다.
참고자료)
chmod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chmod(change mode의 축약어)명령어는 유닉스와 유닉스 계통 환경 안에서 쓰이는 셸 명령어이다. 이 명령어는 파일들이나 디렉터리의 파일 시스템 모드들을 바꾼다. 그 모드들은 허가나 특별한 모드
ko.wikipedia.org
리눅스 chmod 명령어 사용법. (Linux chmod command) - 리눅스 파일 권한 변경.
1. 리눅스 파일 사용 권한 리눅스에서, 파일(File)을 사용해 할 수 있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. (r = read). 파일에 데이터를 쓰기. (w = write). 파일 실
recipes4dev.tistory.com
'Programming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쉘 스크립트 파일 실행 허가 거부(.sh permission denied) (0) | 2021.12.01 |
---|